IPCC 5차 보고서에 따르면 1950년 이후로 기후변화 및 이에 따른 극한강수, 열파와 같은 재해기상이 더욱 자주 관측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IPCC, 2018). 특히, 집중호우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강한 강수를 발생시키므로 홍수, 산사태와 같은 피해를 동반하여 경제-사회적 피해를 입히는 자연재해이며, 최근 10년간 발생한 기상재해 피해액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재해기상이다 (MOIS, 2018).
한편, 선행연구에 따르면 지구온난화에 대한 기온의 변화는 선형적 증가 트렌드를 가지는 반면 강수의 변화는 더 복잡하고 지역적 차이가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Im et al., 2015; Ahn et al., 2016; Fowler et al., 2007; Collins et al., 2013; Kirtman et al., 2013; Sillmann et al., 2013). 또한 지역기후변화 모델링 자료는 GCM에 비하여 높은 수평해상도를 가지고 현실적인 지면과 지형의 효과를 반영하여 극한강수 모의에 added-value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hn et al., 2016; Lee and Hong 2014; Dosio et al., 2015). 그러므로 지역기후변화 모델링 결과를 이용한 극한강수의 변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한국의 극한강수변화에 대하여 Ahn et al., (2016)은 12.5km 해상도의 5개 앙상블멤버를 이용하여 남한의 강수변화를 살펴본 결과 평균 강수에서는 뚜렷한 증가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50mm/day 이상의 호우의 빈도가 증가하고 이는 50년에 한 번 일어날 수 있는 극한강수강도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Kim et al. (2018)에서는 강수를 위한 “STARDEX (statistical and regional dynamical downscaling of extreme)” 핵심지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지역과 기간의 차이가 다소
존재하지만 대체로 극한강도의 강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이는 각 지수의 변동성 증가 및 대류성 강수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Lee et al. (2017)에서도 남한의 극한강수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이는 열역학적 효과가 지배적이며 역학적 효과는 지역에 따라 극한강수를 증가시키는 지역과 감소시키는 지역이 차이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연구에서는 극한강수 발생의 원인별로 구분하지 않고 극한강수의 지수나 현상 자체의 증가만을 설명한 점에 한계가 있다.
댓글